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애플

[애플 페이] 아이폰 교통카드에 K-PASS 까지 등록하고 설정하기 - 화가 머리끝까지 나는 태그 인식 문제

by 우화(woohwa) 2025. 10. 27.
반응형

제가 갤럭시 사용자들을 가장 많이 부러워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핸드폰이 교통카드까지 되는 것이었는데요. 제가 어느날은 핸드폰만 들고 기차를 탔다가 지갑을 두고 오는 바람에 그 다음 대중교통을 타지를 못해서 온 동네를 해매며 티머니 카드를 사고, 카카오뱅크로 수수료 왕창 내고 현금을 뽑아서 충전해서 하루를 버텼던 기억이 있어요. 그래서 그 날 핸드폰을 갤럭시로 갈아타려고 했는데, 그러기에는 패드도, 노트북도 너무 사과밭이 되어버려서 바꿀 수 없었던 그런 과거가 ... 있었습니다만, 이제 그 과거를 청산할 수 있는 시기가 온 것 같습니다. 아이폰에서도 핸드폰 자체로 교통카드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인데요. 거기에 경기도민이라면 무시할 수 없는 K-패스 등록까지, 가능하다고 하니, 더이상 아이폰 사용자로서 울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어플 다운로드

가장 먼저, <모바일티머니> 어플을 다운 받아줍니다. 새로운 소식에 "모바일티머니 K-패스 서비스 오픈" 보이시죠? 이제 된다는 거예요. 

1. 모바일티머니 어플 다운받기

 
어플에 접속해 보시면, 다음과 같이 홈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우선적으로 회원가입 혹은 로그인이 선행되어야 하겠지만, 어플을 켬과 동시에 해당 사항들은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말씀드리지는 않았습니다. 잘 로그인 혹은 회원가입을 진행해주신 다음에 이렇게 현재 [모바일티머니] 카드 현황을 확인해보실 수 있어요.


모바일 티머니 생성 및 Apple 지갑에 추가

이제 가장 중요한 ApplePay에 모바일티머니를 심어보는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감사하게도, 가장 첫 화면에 다음과 같이 Apple 지갑에 추가하는 버튼을 바로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자연스럽게 해당 버튼을 클릭해서 들어가보겠습니다.

모바일티머니 홈화면

 
해당 버튼을 클릭함과 동시에, Apple Pay에 '모바일 티머니' 카드를 추가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계속 버튼을 누르게 되면,

Apple 지갑에 모바일 티머니 카드 추가 (1)

 
이렇게 카드 생성과 동시에 카드를 Apple 지갑에 추가를 해줍니다.

Apple 지갑에 모바일 티머니 카드 추가 (2)

 
카드 추가 중 ✅ 표시를 통해서, 카드 생성 및 Apple 지갑에 추가가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Apple 지갑에 모바일 티머니 카드 추가 (3)

 
Apple 지갑에 추가되었다는 내용을 확인한 후, 다시 [모바일티머니] 어플에 접속하면, 이렇게 티머니 카드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티머니] 어플 내 티머니 카드 확인

Apple 페이 확인하기

Apple 페이에서 모바일 티머니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검색창에서 [지갑]을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어플이 나옵니다. 해당 어플에 접속하면, 현재 나의 Apple 페이에 등록된 모든 카드 및 기타 등등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지갑] 어플 모양

저는 기존에 네이버 현대카드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네이버페이가 가장 먼저 노출되고, 그 뒤로 방금 등록한 모바일 티머니가 줄줄이 나오고 있습니다. 처음 등록 후 추가 캡쳐를 위해서 하나 더 등록을 하게 되면서 여러개가 등록이 되게 되었는데요. [모바일티머니] 어플 내에서 현재는 애플 페이에 등록하는 티머니 카드를 계속해서 생성이 가능한 것 같더라고요. 어차피 충전해서 사용해서 그런 것인지 페이 등록 자체는 제한 없이 가능한 것 같았습니다. (아 물론 끝은 있을 수 있어요. 저는 하나만 되는 건 아니라는 말씀이었습니다.)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하나의 핸드폰에 티머니 카드가 두 개 (이상)씩 있을 필요는 없잖아요? 그래서 다량 등록된 티머니 카드를 지우는 방법도 알려드리겠습니다.

Apple Pay 화면

Apple Pay 모바일 티머니 카드 삭제하기

삭제할 티머니 카드를 하나 선택해줍니다. 해당 카드의 상세화면 중 우측 상단에 ... 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세부 메뉴가 노출됩니다.

apple pay 내 모바일 티머니 상세화면(1)

 
해당 세부 메뉴 중 <카드 세부사항> 메뉴를 선택해줍니다.

apple pay 내 모바일 티머니 상세화면(2)

 
그러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오는데, 가장 밑으로 스크롤을 해주면,

apple pay 내 모바일 티머니 상세화면(3)

 
카드 번호와 함께 <카드 삭제> 버튼이 보입니다. 해당 버튼을 눌러서 카드를 삭제하면, Apple 페이와 <모바일티머니> 어플 모두에서 해당 카드가 삭제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카드 삭제는 <모바일 티머니> 어플 자체에서는 해당 기능이 없더라고요. Apple 페이 전용으로 제작된 페이 카드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카드 삭제는 반드시 이렇게 <지갑> 어플을 통해서 진행해야 되는 것 같았습니다. 해당 내용 꼭 확인해주세요:)

apple pay 내 모바일 티머니 상세화면(4)

K-Pass 등록하기

이제 가장 중요한 작업이죠. K-Pass 등록 작업입니다. 사실상 이 기능 때문에 <모바일 티머니> 를 사용할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경기도민에게 K-Pass는 굉장히 소중하기 때문이죠.
이제 모바일 티머니 카드는 모두 발급이 완료되었으니, <모바일 티머니> 어플로 다시 돌아와서 메뉴 중 <K-패스> 메뉴에 들어갑니다. 그 중 <K-패스 카드 관리> 메뉴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 티머니] 어플 내 K-Pass 메뉴

 
해당 화면은 말하자면, 현재 Apple 페이에 등록된 K-패스로 활용 가능한 티머니 카드를 보여주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의 경우 지금 등록된 카드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카드의 카드 번호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 그러고 보니 여기에서 '카드 해지' 버튼이 있네요. 여기에서 카드 삭제가 될 것 같기도 하는데, 안 해봐서 모르겠습니다. 되면 좋은 거겠죠^^

[모바일 티머니] 어플 내 K-Pass 메뉴 - K-패스 카드 관리

 
이제 실제로 K-패스에 이번에 발급받은 모바일 티머니를 등록해야 합니다. <모바일 티머니> 어플에서는 할 수 없고, 아래 K-pass 페이지에서 등록이 가능합니다. 하단에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korea-pass.kr/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해당 페이지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우측 상단의 햄버거 메뉴를 진입한 후, 먼저 로그인을 해주세요. 만약 회원이 아니라면 회원가입 먼저 진행해주세요.

K-패스 페이지 홈화면

 
메뉴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세부 메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MY - 내카드> 에 들어가시면 현재 등록된 K-패스 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에서 별표가 붙은 <K-패스 카드>는 함정입니다. 어피키가 가리키고 있는 곳으로 들어가주세요. 

K-패스 페이지 메뉴 화면

 
해당 메뉴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기존에 등록된 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기존에 하나카드 K-패스 를 사용하고 있었어서, 해당 카드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K-패스가 시작된 그날부터 쭉, 하나카드로만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제 <모바일티머니> 카드로 바꿔주기 위해서, 하단에 <카드변경 및 이력>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K-패스 페이지 <내카드> 화면

 
해당 메뉴를 클릭하면, 카드번호를 기입하고 <카드 유효성 체크>를 진행하여, 실제 사용이 가능한 카드인지 확인과 동시에 해당 카드로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패스 페이지 카드 변경 화면

 
아래와 같이 기존의 하나카드가 티머니카드로 변경된 모습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K-패스 페이지 카드 변경 완료 화면

 
이제 준비는 끝났습니다. 다른 삼성인들과 같이 자연스럽게 핸드폰만 가져다 대기만 한다면,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얼마나 부러운 하루하루였는지 몰라요. 이게 될 수 있는 거였다니, 감개무량합니다. 더 빨리 해 줄 수는 없었는지 (...) 된 게 어디에요^^. 감사합니다. 아, 후불로 교통카드를 사용하다가 티머니? 선불? 귀찮을 거 같다는 생각을 했었는데요. 돈 쓰는 것은 참 걱정없이 해주더라고요. 오히려 카드로 특정 금액 이하 시 자동충전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서, 귀찮은 일은 없을 것 같았습니다. 충전은 기존에 등록된 네이버 현대카드로 바로 되더라고요. Apple 페이에 등록이 되어 있는 카드로도 가능하고, <모바일 티머니> 어플 내에서 타 신용/체크 카드로 등록해서 특정 금액 이하일 때 자동 충전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돈을 쓰는 건 참 걱정 없이 해주더라고요!


Apple 페이 - 모바일티머니 사용후기

오늘 하루, 퇴근할 때 사용해봤는데요. 생각보다 태깅이 잘 되지 않아서 당황했습니다. 두 번 해야 한 번 되는 느낌이랄까요? 이게 케이스 때문인가 싶다가도, 갤럭시는 케이스 두둠하게 끼고 있어도 잘만 되던데, 조금 서러웠습니다. 한 번 태그 하려면 마음의 준비를 아주 단단히 해야했어요. 출퇴근 사람 많고 빡빡할 때 계속 오류나니까 진땀이 나더라고요. 그래서 서랍속에 잠들어 있던 애플워치를 꺼냈습니다. watch 3 버전이라 오래돼서 반나절에 한번씩 충전해줘야 해서 잘 사용을 안 했는데요, <모바일티머니> 태그를 위해서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워치 사용 후기도 곧..! 추가해보겠습니다:)

** 실 사용 추가 후기

교통카드 인식률이 3번 중 1번으로 30%도 안 되고, 지하철에서는 인식이 됐는지 안 됐는지 개찰구에서는 반응 없다가 핸드폰 확인하면 돈 나갔다고 그러고 그래서 다시 찍으면 이미 승차 처리 됐다고 그러고 ㅋㅋㅋㅋㅋ 화가 나서 못 쓰겠내욬ㅋㅋㅋㅋ 이건 비상용으로 써야지 안 되겠어요.
아침에 출근길에 그 바쁜 순간에도 버스 태그를 세 번은 해야 한 번 인식이 되니, 세상 용서를 하면서 하루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다음달에 당장 K-PASS 기존 카드로 바꿔야지 안 되겠어요. K-PASS 는 한 달에 한 번만 변경 가능하다고 하니… 조금만 더 참아보겠습니다😭
아, 애플워치 … 이것도 기존에 등록해둔 모바일티머니가 워치에 등록이 안 되어서 알아보니까, 모바일티머니는 이이폰과 애플워치가 하나의 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고 ..? 하네요 ..? 이게 말이 되나… 싶고? 앞서 말씀드렸지만 교통카드는 두 개씩 필요 없잖아요. 특히 티머니는 선불로 충전해서 써야 하는데, 이걸 두 개를 만들면 선불 충전을 뭐 얼마나 하라는 거에요. 물론 해서 가족에게 양도하면 또 모르겠지만, 본인이 혼자서 모두 사용하는 상황에서 카드 두 개는 사치란 말입니다. 대환장 … 너무 이르게 시작했나 싶네요ㅋ
결론! 저는 다음달에 다시 실물 카드로 돌아가겠습니다.

반응형